당나귀를 타신 왕(2010. 3. 28)
본문) 마태복음 21:1-11
“예수와 그 제자들이 예루살렘에 가까이 이르러, 올리브산에 있는 벳바게 마을에 들어섰다. 그 때에 예수께서 두 제자를 보내시며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맞은편 마을로 가거라. 가서 보면, 나귀 한 마리가 매여 있고, 그 곁에 새끼가 있을 것이다. 풀어서, 나에게로 끌고 오너라. 누가 너희에게 무슨 말을 하거든, ’주님께서 쓰려고 하십니다‘ 하고 말하여라. 그리하면 곧 내어줄 것이다.“ 이것은, 예언자를 시켜서 하신 말씀을 이루시려는 것이었다.
“시온의 딸에게 말하여라.
보아라, 네 임금이 네게로 오신다.
그는 온유하시어, 나귀를 타셨으니,
어린 나귀,
곧 멍에 메는 짐승의 새끼다.“
제자들이 가서, 예수께서 지시하신 대로, 어미 나귀와 새끼 나귀를 끌어다가, 그 위에 겉옷을 얹으니, 예수께서 올라타셨다. 큰 무리가 자기들의 겉옷을 길에다가 폈으며, 다른 사람들은 나뭇가지를 꺾어다가 길에 깔았다. 그리고 앞에 서서 가는 무리와 뒤따라오는 무리가 외쳤다.
“호산나, 다윗의 자손께!
복되시다,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분!
더없이 높은 곳에서 호산나!“
예수께서 예루살렘에 들어가셨을 때에, 온 도시가 들떠서 물었다. “이 사람이 누구냐?” 사람들은 그가 갈릴리 나사렛에서 나신 예언자 예수라고 말하였다.“ (표준새번역 개정판)
서기 30년 어느 봄날, 유대 땅의 중심인 예루살렘 성 안으로 두 개의 행렬이 들어서고 있었습니다. 하나는 휘황찬란한 독수리 문양이 새겨진 깃발을 앞에 들고 크고 날렵한 군마 위에 근엄하게 앉아 있는 로마 총독 빌라도가 이끄는 무리들이었습니다. 그 뒤를 따라 로마 제국의 기병대와 보병들이 창검을 번뜩이고 두 눈을 부라리며 보무당당하게 성 안으로 들어섰습니다. 그리고 수많은 유대인들이 그 로마 군대를 두려운 눈으로 쳐다보고 있었습니다.
원래 총독 빌라도는 다른 총독들과 마찬가지로 지중해 바닷가의 화려한 신도시에 살고 있었습니다. 유대인들의 수도인 예루살렘은 산 속에 박혀있어 규모도 작고 뭔가 숨이 막히고 답답하며 끊임없이 반란의 기운이 감돌았기 때문에 이방인인 로마 총독이 결코 살고 싶지 않은 도시였습니다. 그래서 총독은 가능한 한 예루살렘에 올라가지 않고 소수의 군대만 주둔시켜 상황을 관리하게 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유월절과 같은 중요한 절기들이 있을 때면 총독들은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예루살렘에 올라가서 혹시나 있을지 모를 반란에 대비하여 경계를 철저히 했습니다. 그리고 바로 그런 이유로 그 해에도 빌라도는 군대를 이끌고 예루살렘 성으로 들어갔던 것입니다.
여러분!
대로마 제국의 군대가 예루살렘에 입성하는 장면을 한 번 상상해 보십시오. 제국의 권력과 위용이 눈에 보이는 듯 하지 않습니까? 말을 탄 기병들과 줄을 맞춰 당당하게 걸어가는 보병들, 그들이 입은 거죽 갑옷과 투구들, 번쩍이는 칼과 창과 방패들, 깃대 위에서 펄럭이는 황금독수리들, 금속에 반사되어 빛나는 태양, 거기서 나오는 소리는 또 어떻습니까? 행군하는 군화 소리, 가죽이 스치면서 삐걱거리는 소리, 말고삐가 쩔렁거리는 소리, 진군의 북소리, 먼지의 소용돌이, 그리고 그것들을 바라보는 수많은 눈들, 말없이 입을 앙다물고 뚫어지게 쳐다보는 눈들, 호기심에 가득찬 눈들, 놀라움으로 바라보는 눈들, 분노로 이글거리는 눈들. (‘예수의 마지막 일주일’ 중에서) 바로 로마의 압제에서 벗어나기를 간절히 바랐던 그 유대인들의 눈들.
그런데 총독 빌라도가 로마 군대를 이끌고 들어오던 그날은 유대교에서 일 년 중 가장 신성한 절기인 유월절의 첫날이었습니다. 유월절이란 그 먼 옛날, 유대 민족의 조상들이 이집트에서 노예생활을 하던 때, 하나님께서 모세와 아론을 보내어 그들을 노예에서 해방시켜 탈출하게 하신 것을 기념하는 날이었습니다. 하나님께서 모세를 시켜 모든 유대 민족, 구약으로 말하면 히브리인들에게는 양을 잡아 그 피를 대문에 바르게 했습니다. 그리고 그날 밤 죽음의 천사가 나타나 대문에 피를 바른 집들은 건너뛰고, 그렇지 않은 집들은 하나도 남김없이 모든 장자를 죽게 하셨습니다. 그때 죽음의 천사가 그 피를 보고 히브리인의 집들은 건너뛰었다고 해서 그 날을 유월절이라고 부르게 되었고, 이어서 이집트에서 탈출하게 되었기에 해방절이라고도 부릅니다. 이 날이 유대인들에게는 가장 큰 명절이었습니다.
유월절이 되면 유대인들은 어느 곳에 살든지 예루살렘으로 올라와 제물을 하나님께 바쳐야 했습니다. 그래서 유월절에는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었고, 모든 사람들이 흥분하고 들떴으며, 그래서 언제 어디서 무슨 소동이 일어날지 몰랐습니다. 바로 그래서 로마 총독은 긴장한 채 군대를 이끌고 예루살렘에 들어왔던 것입니다.
그런데 바로 그날 또 하나의 무리가 예루살렘 성 안으로 들어서고 있었습니다. 그 무리는 빌라도의 군대에 비하면 너무나 초라하고 보잘 것 없는 행렬이었습니다. 그들은 예루살렘에서 북쪽으로 160km 정도 떨어진 갈릴리 지방에서 왔는데 행색은 초라하고, 총과 칼도 없고, 무엇 하나 제대로 갖춘 것이 없었습니다. 웬 남자 한 사람이 앞장섰는데 그는 크고 멋있게 생긴 말을 탄 것이 아니라 너무나 작아서 사람을 태우기에도 벅차 보이는 나귀새끼 곧 당나귀를 타고 예루살렘 성 안으로 들어섰습니다. 제대로 된 안장도 없어서 제자들이 겉옷을 펴서 당나귀 등에 얹자 그 사람이 거기에 앉았다는 것입니다. 당나귀가 너무나 연약해서 자칫 잘못하면 그대로 주저앉을지도 모르는 상황이었습니다. 어쨌든 제자들이 고삐를 잡아끌고 앞으로 나아가자 다른 제자들과 무리들이 옷을 벗어 길에다가 펴고, 또 나뭇가지를 꺾어다가 길에 깔았습니다. 그런데 그 당나귀를 탄 사람은 바로 예수였습니다.
예수께서 당나귀를 타고 입성하실 때 어떤 사람들이 종려나무 가지를 꺾어들고 소리 높여 외쳤다고 성서기자는 증거합니다.
“호산나, 다윗의 자손께!
복되시다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분!
더없이 높은 곳에서 호산나!“
바로 이 날, 그들이 종려나무 가지를 꺾어 흔들었다고 하여 이날을 우리는 종려주일이라고 부르고, 교회력으로 치면 바로 오늘이 2010년도의 종려주일인 것입니다.
바로 이 날, 두 사람이 예루살렘 성 안으로 들어섰습니다. 빌라도와 예수입니다. 한 사람은 로마 제국의 대표자로서 막강한 군대와 엄청난 힘을 가진 사령관입니다. 그는 그 지역을 다스리는 사람이었고, 모든 사람을 재판하는 재판관이었습니다. 그의 말 한 마디로 사람들을 죽일 수도 있고, 살릴 수도 있는 엄청난 권력의 소유자였습니다. 다른 한 사람은 참으로 보잘 것 없는, 힘없는 농민들로 구성된 소수의 무리들을 이끌던 사람이었습니다. 그 누구 한 사람 죽인 적 없고, 칼 한 번 휘두른 적 없이 그저 말씀전하고 아픈 사람 고쳐주고, 소외된 사람들을 품어주던 사람이었습니다. 그런데 바로 그들이 한 날 성 안에 들어왔고, 맞서게 됩니다. 오늘부터 일주일을 고난주간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결국 빌라도와 예수가 맞부딪치는 기간이요, 그 결과는 우리 모두가 아는 대로 예수의 죽음으로 나타납니다. 성경에 의하면 이 주간에 예수를 재판해서 십자가에 못 박도록 내 준 사람이 바로 빌라도였습니다.
그렇다면 예수께서 나귀 새끼, 곧 당나귀를 타고 예루살렘 성 안으로 들어온 것은 무슨 의미가 있는가? 왜 예수께서는 굳이 당나귀를 타고 예루살렘 성 안으로 들어가야 했던가? 그것은 바로 구약의 예언자 스가랴의 예언이 성취되었음을 나타냅니다.
기원전 6세기 하반, 페르시아의 왕 다리우스가 세상을 통치하던 때, 페르시아에서 활동하던 예언자가 있었으니 그의 이름이 스가랴였습니다. 그는 머나먼 이국땅에 살면서도 예루살렘 성을 잊지 못했습니다. 예루살렘 성과 성전이 철저하게 파괴된 것을 마음 아파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하나님께서 그에게 예루살렘 성이 회복될 것임을 보여주셨습니다. 그리고 그 성 안으로 메시아 즉 구세주가 들어갈 것임을 선포하게 하셨습니다. 스가랴서 9장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도성 시온아, 크게 기뻐하여라.
도성 예루살렘아, 환성을 올려라.
네 왕이 네게로 오신다.
그는 공의로우신 왕,
구원을 베푸시는 왕이시다.
그는 온순하셔서,
나귀 곧 나귀 새끼인
어린 나귀를 타고 오신다.“ (스가랴서 9:9)
그렇습니다.
예언자 스가랴는 도성 시온이, 즉 예루살렘 성이 회복되고 그 성이 다시 하나님의 성이 될 것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그 성으로 하나님께서 하나의 왕을 보내실 것을 보았습니다. 그러니까 왕으로서의 메시아가 이 땅에 오실 터인데 그는 공의로우신 왕, 구원을 베푸시는 왕입니다. 그 왕은 빌라도와 같이, 헤롯과 같이 군림하는 왕, 백성들을 억압하는 왕, 죽이는 왕이 아니라, 세상을 창과 칼로 정복하는 왕이 아니라 지극히 온순하셔서 평화를 주기 위해서 오시는 왕, 그래서 나귀 곧 새끼 나귀인 어린 나귀, 당나귀를 타고 오시는 왕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예언이 이루어졌으니 바로 오늘의 본문이 그 증거인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분은 무슨 일을 하실 것인가요? 스가랴는 이어서 다음과 같이 예언합니다.
“내가 에브라임에서 병거를 없애고,
예루살렘에서 군마를 없애며,
전쟁할 때에 쓰는 활도 꺾으려 한다.
그 왕은 이방민족들에게
평화를 선포할 것이며.
그의 다스림이
이 바다에서 저 바다까지,
유프라테스 강에서
땅 끝까지 이를 것이다.“
그렇습니다.
예수는 당나귀를 타고 평화의 왕으로 오셨습니다. 병거를 없애고, 군마를 없애며, 활을 꺾어 버리기 위해 이 땅에 오셨습니다. 이방 민족들에게, 이 땅의 모든 민족들에게 평화를 선포하러 오셨습니다. 그렇기에 종려주일이란 바로 온 세상에 평화를 선포하는 날인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우리가 꿈꾸는 사람 사는 세상은 평화의 세상입니다. 병거와 군마와 활이 없어지고, 정의와 평화가 넘쳐나는 세상입니다. 오늘날로 말하면 탱크가 없어지고, 원자탄이 없어지고, 미사일이 없어지는 것입니다. 강대국이 약소국을 침략하지 않고, 동족과 동족끼리 서로가 죽이지 않는 세상입니다. 예수는 바로 그런 세상을 만들기 위해 이 땅에 오셨고, 우리를 부르셨습니다.
오늘날 기독교 신앙의 이름으로 전쟁을 일삼고, 폭정을 행하고, 독선과 아집에 사로잡힌 자들이 너무나 많이 있습니다. 자기들의 신앙의 이름으로 전쟁을 일으키지만 사실은 그 안에 엄청난 탐욕이 들어있습니다. 그들은 아무리 입으로 기독교인이라고 큰소리치고, 아무리 열심히 교회에 나간다 하더라도 그들은 결코 하나님의 제자가 아닙니다. 그들은 사탄의 앞잡이일 뿐이요, 결단코 하나님의 심판을 면치 못할 것입니다. 아니 멀리 갈 것 없습니다. 평화가 결국 이 땅에 사는 모든 사람들, 더 나아가 모든 생명체들과 자연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살아가는 것이라고 말할진대 그것을 자기들의 욕심을 채우기 위해 함부로 파괴하고 강을 파헤치고 산을 함부로 뚫는 것은 전쟁과 마찬가지로 미친 짓이며, 그런 일을 행하는 자들은 하나님의 심판을 받을 것입니다.
오늘은 종려주일, 평화의 주님이 우리에게로 오시는 날입니다. 2,000년 전 예루살렘 성안으로 들어가셨던 예수께서 2,000년이 지난 오늘 우리가 사는 이곳에 입성하고 계십니다. 그리고 동시에 다른 한 쪽에 빌라도와 같은 세력이 입성하고 있습니다. 결국 신앙이란 그 두 개의 세력 가운데 어느 쪽을 진심으로 환영하고 따를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누가 과연 이 땅에 참다운 정의와 평화를 가져다 줄 것인가? 누가 과연 이 땅에 참다운 생명과 기쁨을 가져다 줄 것인가 선택해야 합니다. 신앙은 바로 그것을 선택하는 과정입니다. 예수의 편에 설 것인가? 빌라도의 편에 설 것인가? 정의의 편에 설 것인가? 불의의 편에 설 것인가? 평화의 편에 설 것인가? 전쟁의 편에 설 것인가? 선택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보고 계십니다.
이 시간 우리의 삶을 통해 이 땅에 정의와 평화를 이루기 위해 애쓰는 모든 분들 위에 하나님의 축복이 넘치시기를 간절히 축원합니다.
'2010 년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 5. 2 / 누가 우리를 끊을 수 있으랴? / 로마서 8:31-39 (0) | 2015.04.04 |
---|---|
2010. 4. 25 / 모든 피조물들의 하나님 / 시편 104:1-35 (0) | 2015.04.04 |
2010. 3. 21 / 사람사는 세상 / 이사야서 11:5-8, 마가복음 1:12-13 (0) | 2015.04.04 |
2010. 3. 14 / 최초의 기독교인 / 마가복음 14:3-9 (0) | 2015.04.04 |
2010. 3. 7 / 여인들의 특권 / 마태복음 27:55-56 (0) | 2015.04.04 |